DC-CTL
관련링크
본문
장점
면역 세포세포 치료는 면역 조절제, 백신, 면역세포 결함과 암세포 차단, 그리고 DC-CTL로 구분할 수 있으며 DC-CTL는 5세대 최첨단 면역치료 기술입니다.
DC-CTL 면역세포 치료란
DC-CTL는 최첨단 면역치료로써, 1세대 LAK세포를 대표해서 2세대 CLK세포, 3세대 DC-CLK세포로써 비 특이성 면역세포 치료로 대표되고 있습니다. 현재 4세대 DC-CLK 특이성 면역 세포에 관한 기술로 계속 발전해 왔습니다. DC-CTL는 5세대 면역세포 기술로써 개발 되어 비 MHC 제한 킬러 NK-T 세포를 확장하는 동시에 MHC제한적인 CD8+ 특이성 CTL 세포를 배양해서 기존의 배양에 60~70%에 도달했습니다. 두 종의 살상세포의 작용으로 보다 기능을 높였습니다. DC-CTL의 장점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독성이 없습니다. 면역세포 치료는 환자 본인의 면역세포를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가벼운 발열 부작용을 제외하면 더 심각한 부작용이 없어 환자의 신체에 부담이 적습니다. 기존 DC-CTL 면역치료법에 다량의 특이성 항원을 추가하여 보다 정확한 표적에 대한 살상작용을 하며 면역세포의 복제로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종양 활동을 유도 합니다. 과거의 DC-CTL 면역 요법을 토대로 200~1000배에 해당하는 100억개의 세포 증량으로 살상 효과를 높이게 됩니다.
[DC-CIK, MTCL-CTL 특징비교]
치료범위
DC-CTL 면역치료에 적합한 환자는 이론적으로 모든 암 종에 적용할 수 있는데, 다음의 환자에게 추천 합니다.
1. 종양 수술 전에 체력이 떨어지고 수술 후 회복이 더디고 영상에서 나타나지 않은 숨겨진 암세포에 대한 치료를 원하는 환자
2. 방사선 치료나 항암 후 면역력 저하 부작용으로 인한 (예; 식욕감퇴 메스꺼움 탈모 피부염 등) 더 이상의 일반 항암 치료가 어려운 환자
3. 기존 치료에 효과가 없거나 더 이상 치료 방법이 없는 환자
4. 말기 암으로 전신에 전이가 되어 기존 치료법으로는 의미가 없고 새로운 치료를 시도 해보고 싶은 환자
세포 면역 요법은 말기 암환자의 종양 축소에 효과적이지만 기존 면역치료와 같이 환자의 생명연장에 효과가 있으며 수술 후 혹은 기존 치료와 같이 치료 할 수 있는 보조 치료 법으로 재발을 억제 하고 치료 효과를 오래 유지 할 수 있습니다. 주로 두경부, 식도암, 폐암, 위암, 유방암, 간암, 췌장암, 난소암, 자궁암, 신장암, 전립선암, 등 고형 암에 적용 가능합니다. 치료할 수 없는 환자로는 HIV 항체 양성인 환자, 장기나 골수 이식을 받은 환자, 일부 백혈병 환자로 악성 T세포림프종 환자, HTL-1항체 양성환자가 해당됩니다.
검사 및 치료
1. 치료 전 검사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 하기 위해 환자의 면역 반응 여부를 검사 합니다. 기능 검사와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검사 등 여러 가지 검사가 있는데, 이는 환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채혈
첫 번째 채혈을 진행 합니다. 채혈의 양과 방법은 환자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3. 세포의 배양과 가공
채혈 된 혈액에서 세포를 추출, 가공 그리고 배양 합니다.
4. 면역세포 주입
증식 활성화된 면역세포를 원발암 혹은 림프절 주변에 주입하게 됩니다. 환자의 상태를 관측해 가며 적당한 주기로 반복적으로 주입합니다.
효과 및 부작용
유방암 말기, 간, 뼈 전이 환자 DC-CTL면역치료후 종양수치가 정상으로 돌아 왔으며, 아래의 영상과 같이 폐암 4기 환자가 뇌, 종격동, 뼈전이의 상태에서 DC-CTL 면역요법과 표적치료를 함께 치료 한 후 종격 림프절 전이와 원발암 부위가 확연하게 줄어들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가벼운 발열이 보고되고 있으며, 기타 특이한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유방암 4기환자의 치료경과 좌: 치료전, 중:치료 5회, 우: 치료 14회]
[폐암의 전신 전이환자 좌: 치료전, 우: 치료후]